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주시51

[제주도 제주시]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 홈페이지 : 국립제주박물관 http://jeju.museum.go.kr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주동로 17 (건입동) 2001년 6월 15일 개관한 국립제주박물관은 제주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전시·보존·연구하는 고고·역사박물관이다. 국립제주박물관에서는 제주의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역사적 문물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대별 각 유적과 유물이 갖는 역사·문화적인 의의를 전시물에 담았다. 탐라문화의 전시공간을 특성화하여 독특하고 고유한 탐라문화를 체계적으로 선보이는 한편, 해마다 다양한 주제의 특별전을 개최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제주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제주 토착문화의 전개 과정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문.. 2023. 7. 18.
[제주도 제주시] 제주항일기념관 제주항일기념관 - 홈페이지 : http://hangil.jeju.go.kr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북로 303 일제는 1910년 한국을 국권침탈하여 식민통치를 하고 무단정치를 실시하여 언론, 출판, 결사를 비롯한 모든 자유를 박탈하자 우리의 선조들은 이에 항거하여 항일투쟁을 해오다 1919년 3월 1일 유관순 열사의 대한독립만세운동으로 한반도 전역에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항일 만세운동이 펼쳐져 조국 광복의 밑거름이 되었기에 우리나라의 3월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미년 3.1 독립만세운동은 제주지역까지 이어져 1919년 3월 21일부터 3월 24일까지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소재 미밋동산(지금은 만세동산이라 부름)에서 거행되었다. 이러한 선열들의 뜻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하여 19.. 2023. 7. 5.
[제주도 제주시] 제주고산리유적안내센터 제주고산리유적안내센터 - 홈페이지 : 제주고산리유적 누리집http://www.gosanriyujeok.co.kr/ 인스타그램http://www.instagram.com/gosanriyujeok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을해안로 1100 1987년 5월 고산리 주민이 흙을 채취하기 위해 땅을 파다 석창과 긁개를 발견하고 제주대학교 사학과 학생을 통해 이청규 교수에게 알려졌다. 같은 달 출토지점 일대를 답사하여 첨두기 등 타제석기 3점이 추가 발견되고 융기문토기가 채집된 후 제주대학교박물관의 1991년 지표조사 및 세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학계에 보고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 중요성을 받아 1999년 국가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제주고산리유적안내센터는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신석기유적인 제주.. 2023. 6. 7.
[제주도 제주시] 돌거북이수석박물관 돌거북이수석박물관 -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phoenix-turtle/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명이2길 68 돌거북이 수석박물관에는 천하제일의 보물인 자연이 만들어 놓은 돌거북이가 모셔져 있다. 수석박물관은 풍수지리상의 명당자리 중의 하나인 금귀몰니형(金龜沒泥形)에 자리 잡아 지어졌다. 금귀몰니형의 명당자리란 동양철학상으로 볼 때 '음의 기운'이 강한 곳으로 그런 곳에는 '양의 기운'이 강한 것과 합쳐질 때 무한한 '복스러운 기운'들을 발산하는 자리라고 해서 예로부터 '양의 기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 관공서라든가, 학교, 도서관, 박물관, 사당 등과 같은 건물들을 지어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 터를 밟아주도록 하였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터를 밟은 사람들.. 2023. 3. 28.
[제주도 제주시] 김창열미술관 김창열미술관 - 홈페이지 : https://kimtschang-yeul.jeju.go.kr/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금로 883-5 김창열미술관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물방울 화가’로 널리 알려진 김창열 화백의 주옥같은 작품을 만나 볼 수 있으며, 현대미술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미술작품과 자료를 전시,연구 수집하는 것을 목적을 가지고 있다. 김창열은 미술관 건립을 위해 주요 작품 220점을 기증했다. 홍재승 건축가가 설계한 미술관 하늘에서 보면 중정을 기준으로 거대한 큐브형 건물 8개가 둘러쌓인 모습이다. 이는 김창열이 추구한 회귀의 철학을 건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소개 정보 - 이용시간 : 화~일요일 : 9:00 ~ 18:00 - 쉬는날 : 주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 및 추석날 -.. 2023. 3. 10.
[제주도 제주시] 김만덕기념관 김만덕기념관 - 홈페이지 : http://www.mandukmuseum.or.kr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산지로 7 (건입동) 제주시 건입동은 조선시대 제주도의 관문이었다. 수많은 물자가 오갔고, 그것을 중계하는 객주들이 들어섰다. 기녀 출신인 김만덕의 객주도 그중 하나였다. 제주도에 큰 기근이 들었을 때 그녀는 전 재산을 털어 쌀 500석을 백성들에게 나눠주었다. 기녀에서 거상으로 다시 자선사업가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김만덕을 기리는 기념관이 2015년에 개관하였다. 김만덕기념관은 단순히 그녀의 업적을 알리는 거에 그치지 않고 김만덕의 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는 다양한 실천도 보여준다. ※ 소개 정보 - 이용시간 : 09:00~18:00 (관람시간 30분전 입장마감) - 쉬는날 : 매주 월요일.. 2023. 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