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포구41

[서울 마포구] 김대중도서관 김대중도서관 - 홈페이지 : 김대중도서관 http://www.kdjlibrary.org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4길 5-26 (동교동) 김대중 도서관은 평화, 민주화, 빈곤 퇴치를 키워드로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인 김대중 대통령의 철학 및 한국 현대사의 주요 쟁점과 사건을 연구하는 도서관이다. 도서관 산하에 김대중 평화 연구소를 두고 있고 이외에 연구센터, 국제협력 센터, 사료 센터, 전시 열람센터, 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하 1층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기증한 도서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과 각종 학술회의,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컨벤션홀이 있다. 1층은 김대중 대통령의 기념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층은 특별 전시실과 사료 전시실, 3층부터 5층까지는 연구시설이다. 전시는 예.. 2023. 12. 6.
[서울 마포구] 긱 라이브하우스 긱 라이브하우스 - 홈페이지 : http://www.geeklivehouse.co.kr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0길 7 (동교동) 긱 라이브하우스는 대한민국 인디 문화와 그 맥을 함께 해 온 홍대 거리의 라이브클럽이다. 공연 위주의 전문 클럽으로 2003년 2월 프로 뮤지션들이 뜻을 모아 만든 인디씬의 성지이다. 프로 뮤지션들이 주축이 된 만큼 무대, 음향, 조명 시설 모두 수준급이다. 인디밴드의 기획 공연은 물론 프로에서 아마추어 대관 공연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것이 특징이다. 좌석과 스탠딩 모두 합쳐 150여 명이 동시 수용되며 하루에 3~4팀의 인디밴드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한국 인디 음악의 현주소와 홍대 클럽 문화의 일면을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스트리밍 공.. 2023. 12. 6.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마포아트센터 - 홈페이지 : 2023. 12. 6.
[서울 마포구]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 홈페이지 : https://sema.seoul.go.kr/kr/visit/nanji_residency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하늘공원로 108-1 (상암동) 서울시립미술관이 운영하는 공공스튜디오로 2006년 난지한강공원 내 침출수 처리장을 개조하여 젊은 예술가들의 활동 공간으로 개관하였다. 유휴시설인 침전조와 농축조 시설을 전시 공간으로 개조하여 만든 난지 전시실은 둥그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일반적인 전시 공간과 달리 독특한 구조로 입주 작가들의 전시 및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25개의 개인 전용 스튜디오와 회의실, 입주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장비와 도구가 마련되어 있는 야외 작업장 등이 있으며 국내외의 역량 있는 작가와 연구자를 양성하고 지원하는.. 2023. 12. 6.
[서울 마포구] 홍대난타전용관 홍대난타전용관 - 홈페이지 : http://nanta.i-pmc.co.kr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6길 29 (서교동) 홍대난타전용관은 323석의 관람석을 보유한 난타만을 공연하기 위해 꾸며져 있는 공연장으로 극의 재미와 효과를 극대화한 조명과 무대 세트로 꾸며져 있는 공간이다. 난타는 칼과 도마 등 주방 기구가 멋진 악기로 변신하여 리듬과 비트, 상황만으로 구성된 비언어적 공연으로 전 세계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이며 전 세계적으로 독창성을 인정받은 풍악의 훌륭한 리듬을 이용하여 관객들이 한껏 빠져들 수 있는 신나고 화려한 무대를 선보인다. ※ 소개 정보 - 이용시간 : [공연시간] - 월~금 17:00, 20:00 - 토 14:00, 17:00. 20:00 - 일,공휴일.. 2023. 12. 5.
[서울 마포구]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홈페이지 : http://www.womenandwarmuseum.net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11길 20 (성산동)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이 겪었던 역사를 기억하고 교육하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공간이다.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전시 성폭력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전쟁과 여성 폭력 없는 세상을 위해 연대하고 행동하는 박물관이다. 안전하고 평화로운 세상에서 아이들이 자라길 바랐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오랜 염원은 국내외 시민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켜 모금 활동으로 이어졌고 마침내 2012년 5월 5일 어린이날, 그 염원으로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문을 열었으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및 해결 운동을 위해서 체계적으로 수집.. 2023. 1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