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관안내652

[부산 기장군] 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 홈페이지 : 국립부산과학관 http://www.sciport.or.kr -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산관광6로 59 오시리아 관광단지(부산시 기장군)에 위치한 국립부산과학관은 2015년 12월 개관 이후 누적관람객 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연평균 관람객 100만 명 이상, 교육참가자 약 10만 명으로, 부울경 지역의 과학적 사고력 함양에 기여하는 명실상부 동남권 과학문화 확산의 거점기관으로 역할을 다 하고 있다. 국립부산과학관에는 자동차, 항공우주, 선박, 에너지, 의과학 등 지역산업의 과학기술을 90% 이상 체험형 전시물로 담은 ‘상설전시관’. 영유아를 위한 과학놀이터 ‘새싹누리관’, 기초과학원리와 미래기술을 직접 느껴볼 수 있는 ‘어린이과학관’과 항상 새로운 주제의 특.. 2023. 9. 6.
[대구 남구] 대덕문화전당 대덕문화전당 - 홈페이지 : https://www.nam.daegu.kr - 전화번호 : 053-664-2174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순환로 1998년 3월 7일 개관한 대덕문화전당은 다양한 예술 전시회가 열리는 공간이다. 앞산에 위치하고 있어 공기가 맑고 경치가 수려하며 대구광역시 8개 구·군 중 최초로 만들어진 문화 예술 시설로 연면적 6,700㎡로 공연장[536석]과 아트홀, 2개의 전시실 및 7개의 문화강좌실로 구성되어 있다. 공연장은 지상 2층 건물로 면적은 1,804㎡, 무대 면적은 283㎡, 객석수는 536 석이다. 문화동은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로 지하 1층에는 제1 전시실, 제2 전시실, 건강교실이 있고, 지상 1층에는 아트홀, 사무실, 지상 2층에는 회의실, 어학연.. 2023. 9. 2.
[부산 남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 홈페이지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http://museum.ilje.or.kr/kor/Main.do -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320번길 100 (대연동) 립 일제 강제 동원 역사관은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의 실상을 규명함으로써 성숙한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인권과 세계 평화에 대한 국민 교육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총 7만 5465㎡의 부지에 지상 3층 지하 4층, 건물 연면적 1만 2062㎡ 규모로 정부에서 수집한 강제 동원 수기, 사진, 박물류 등을 전시하고 있다. 역사관은 ‘유족을 위한 추도·기념시설’로서는 물론, ‘일제 강제 동원 역사교육 공간’이자 ‘지역 주민의 친환경적 휴식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UN기념공원, UN 평화기념관과 함께.. 2023. 9. 2.
[대전 서구] 대전예술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 - 홈페이지 : https://www.daejeon.go.kr/djac/index.do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35 (만년동)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은 대전광역시의 대표적인 종합공연장으로, 만년동 둔산대공원 내에 자리 잡고 있다.아트홀은 1,546석의 객석, 300여 명이 동시에 출연할 수 있는 무대, 120여 명의 단원을 수용할 수 있는 오케스트라피트(박스)를 갖춘 공연장으로, 오페라·발레·뮤지컬 등의 대형 공연을 연다.앙상블홀은 연극·무용·실내악·독주회 등을 여는 공연장으로, 643석의 객석과 150여 명이 동시에 출연할 수 있는 무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컨벤션홀은 국제회의와 각종 세미나를 개최하고 연회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4개 국어 동시 통역과 녹음 기능을 갖.. 2023. 8. 29.
[경기도 파주시] 한향림옹기박물관 한향림옹기박물관 - 주소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96-43 옹기는 한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독자적인 문화로 주로 발효식품 및 곡물 등의 저장용기로 사용되어 왔다. 귀족적 성격의 청자나 백자들과는 달리 서민들의 생활 속에 밀착되어 조선시대에 빠르게 발전되었다. 이러한 옹기는 식품을 오래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흙 속에 모래 알갱이가 수없이 함유되어 공기를 빨아들이기도 하고 내부의 습기를 내보내기도 하여 옹기를 숨 쉬는 그릇이라고도 한다. 또한, 가마 안에서 구울 때 생긴 검은 연기가 옹기 흙 속에 박혀 방부제 구실을 하기도 한다. 1960년대 말부터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등의 등장과 주거 공간, 식생활의 변화로 옹기 문화는 점차 쇠퇴 하여가고 있다. 한향림 옹기박물.. 2023. 8. 25.
[대구 달서구] 달서아트센터 달서아트센터 - 홈페이지 : http://www.dscf.or.kr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문화회관길 160 (장기동) 지역민의 문화 예술 향유 기회 확대와 건강하고 여유로운 삶을 위한 문화 예술복합시설로 2004년 4월 최초 개관하였으며, 2014년 4월 (재) 달서 문화 재단으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주요 시설로는 공연장인 청룡 홀 455석, 와룡 홀 212석, 야외공연장(1,200㎡)과 두류 갤러리(335㎡), 작은 도서실, 컴퓨터실(35대), 예술아카데미 10개 강의실, 수영장(25M, 6레인) 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기존 웃는 얼굴 아트센터에서 달서 아트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12.21) ※ 소개 정보 - 이용시간 : 이용 프로그램에 따라 상.. 2023. 8.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