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도구11

[부산 영도구] 영도해녀문화전시관 영도해녀문화전시관 - 홈페이지 : www.yeongdo.go.kr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리남로 2-36 (동삼동)영도해녀문화전시관은 2층 건물로 전시관 입구에는 해녀에 대한 정의와 역사를 알 수 있다. 해녀는 잠녀, 잠수라고도 하며, 산소 공급 장치 없이 바다에 들어가 각종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성으로 한국의 전통적 해양문화와 여성 어로문화를 대표하는 점이 인정돼 2017년 5월 국가무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영도 해녀는 대부분 제주 출신의 출향해녀로 1887년 제주 해녀가 경상남도 부산부 목도(영도)에 온 것이 시초라고 한다. 1부는 숨비소리테마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등재 역사와 해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설명 자료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2부 해녀복과 물질도구에 대한 전시를 하고 있고, 3부 영도.. 2025. 1. 17.
[부산 영도구] 아르떼뮤지엄 부산 아르떼뮤지엄 부산 - 홈페이지 : https://kr.artemuseum.com/BUSAN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247번길 29 (동삼동)아르떼뮤지엄은 ‘영원한 자연’을 주제로, 디지털 기술과 예술을 결합한 작품을 선보이는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이다. 지난 7월 부산 영도구에 새롭게 개관했다. 선박 수리공장을 개조하여 조성한 공간답게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 소개 정보 - 이용시간 : 10:00~21:00 (입장 마감 20:00) - 쉬는날 : 연중무휴 - 이용요금 : 성인 22,000원청소년 18,000원어린이 15,000원(평일 기준/주말 및 공휴일은 3,000원 추가) - 문의및안내 : 1899-5008 - 주차시설 : 가능 - 주차요금 : 최.. 2025. 1. 9.
[부산 영도구] 영도 조내기 고구마 역사기념관 영도 조내기 고구마 역사기념관 - 홈페이지 : https://www.yeongdo.go.kr/tour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벚꽃길 75 (청학동) 영도 조내기 마을은 우리나라 최초로 고구마가 재배된 지역이다. 조선 영조 때 통신사 조엄이 대마도에서 가져온 고구마를 영도에서 처음 재배하게 됐고, 그것으로 백성들의 기근을 해소하게 됐으니 고구마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 또 시배지였던 영도를 기념하고 알리기 위해 건립된 기념관이다. 영도 조내기 고구마 역사기념관 1층은 메인 전시관, 2층은 카페와 요리 체험실, 교육장이 있고 옥상 루프탑은 문화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특히, 조내기 고구마 역사 기념관은 고구마의 전파경로와 역사 연대기, 고구마의 전래 배경을 소개하고 있으며 샌드아트 영상, 고구마 동화이야기.. 2023. 11. 24.
[부산 영도구] 영도문화예술회관 영도문화예술회관 - 홈페이지 : http://culture.yeongdo.go.kr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함지로79번길 6 (동삼동) 영도문화예술회관은 2009년 10월 개관한 문화 예술공간으로 최첨단 시설을 갖추어 음악, 연극, 미술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전시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곳이다. 도서관과 국민체육센터가 한 곳에 마련되어 있는 복합시설물인 영도어울림문화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영도문화예술회관은 지하 2층, 지상 4층의 건물로 대공연장, 소공연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대공연장은 영도문화예술회관이 자랑하는 최고 시설의 공연장으로써 봉래홀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고, 최고급 음향반사판을 비롯한 음향시설과 뛰어난 무대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어 음악, 연극, 뮤지컬, 오페라, 무용 등 각종 .. 2023. 11. 16.
[부산 영도구] 동삼동패총전시관 동삼동패총전시관 - 홈페이지 : http://museum.busan.go.kr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729 (동삼동) 2002년 개관한 전시관으로 신석기시대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동삼동패총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을 국내외에 공개하고,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패총은 선사시대에 인류가 먹고 버린 조가비와 생활 쓰레기가 쌓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개더미 유적이라 할 수 있다. 동삼동패총에서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재배 곡물인 조와 기장이 발견되었고 석기, 짐승 뼈, 조가비들로 된 살림살이 유물, 농사를 짓는데 쓰이는 연장이 발견되었다. 또한 문양 없는 원시무문토기,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빗살무늬토기가 출토되어 당시의 생활상과 문화상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2023. 11. 7.
[부산 영도구] 부산광역시 영도도서관 부산광역시 영도도서관 - 홈페이지 : https://www.yeongdo.go.kr/library.web -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함지로79번길 6 (동삼동) 영도 도서관은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지식과 정보의 충족을 목표로 1996년 7월 개관한 도서관이다. 영도 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지하 1층은 강의실, 1층은 어린이 자료실, 유아실, 2층은 종합자료실, 3층에는 멀티미디어실과 열람실로 구성되어 있다.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전 연령대의 평생교육과 독서 활동을 위해 다양한 행사와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독서교실, 독서회, 독서퀴즈 행사를 통해 책 읽는 즐거움과 독서의 생활화를 유도하고 체험형 동화 구연, 들락날락 과학교실, 부모교육 등의 강좌를 통해 지역민들의 다양한 정보와 .. 2023.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