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

[부산 동래구]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by 문화시설 정보 2023. 10. 31.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 홈페이지 : https://www.busan.go.kr/sea/index
-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75
부산 해양자연사박물관은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라져가는 소중한 해양자연사 자료들을 수집 및 보존하고 이를 전시하고 교육한다. 1994년 6월 10일 개관한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은 국내 최초, 최대 규모의 해양자연사 분야의 전문박물관으로 세계 100여 개국의 희귀종, 대형종, 한국 특산종 등 해양생물을 중심으로 자연사 자료 25,000여 점을 수집, 전시하고 있으며, 소장품의 상당수는 전시 가치 및 희귀성 면에서 국제적인 수준이다. 2003년 4월에는 제2전시관을 개관하였으며, 2007년 2월 23일 분관으로 부산어촌민속관을 개관하였다.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주요 전시품으로는 현존하는 패류 중 가장 큰 종인 식인조개, 현존 민물 어류 중 가장 큰 종인 아라파이마, 한 달 중 보름은 산에서, 보름은 바다에서 산다고 하는 전설적인 물고기 산갈치,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 뼈 화석 중 가장 완벽한 중생대용 각류 공룡의 어깨뼈 화석, 남미 세계에서 2번째로 크게 자라는 물왕도마뱀, 대형 종으로 성질이 매우 거칠고 이빨이 강한 악어거북,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육지 거북종인 며느리발톱거북 등이 소장되어 있다.
※ 소개 정보
- 이용시간 : 매일 09:00~18:00
(입장마감 17:00)
- 쉬는날 : 1월 1일, 매주 월요일(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 휴관)
- 관람소요시간 : 1시간~1시간 30분
- 이용요금 : 무료
- 문의및안내 :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051-553-4944
- 주차시설 : 인근 공영주차장 이용(문의 051-555-4882)
- 주차요금 : 대형버스(45인승) - 10분당 600원
중형버스(30인승 이하) - 10분당 400원
소형 승용차 - 10분당 200원
※ 이용요금은 1일 최대 4시간까지만 발생
※ 경차, 다자녀가정, 승용차요일제 참여차량 50% 할인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 불가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




◎ 체험프로그램
- 내용 : 박물관 전시해설
주중(화~금) : 전체해설 10시, 13시 / 테마해설 11시
주말 및 공휴일 : 전체해설 10시, 13시, 15시 / 테마해설 11시, 14시




◎ 사업내용
- 내용 : 1) 연구기능 - 표본들의 지속적인 확보.유지 및 분류.보전 활동
2) 전시기능 - 일반 관람객에 박물관 소장표본 전시를 통한 박 물관의 기본적인 역할수행
3) 도서관의 역할 - 다양한 생물들의 생활사를 연구할 수 있도록 보조
4) 교육 기능 - 일반인 및 학생들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 예약안내
- 내용 : 단체 방문시 사전예약




◎ 한국어 안내서비스
- 내용 : * 해설시간
화~금요일 : 10시, 11시, 13시
토, 일, 공휴일 :전체해설 10시, 13시, 15시 / 테마해설 11시 30분, 14시
* 해설대상 : 일반관람객 및 단체
* 해설진행 회당 2팀 운영(팀당 20명 이하)
* 소요시간 : 전체해설 50분 / 테마해설 20분
* 신청방법 : 현장접수 및 전화예약 (☎ 051-553-4944, 051-550-8807)
※ 테마해설은 게릴라 형식으로 즉석 진행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63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101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111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119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122
여행Q레이터_부산_동래_녹천호텔18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16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25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33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44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51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57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68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69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79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85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89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93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99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_113
여행Q레이터_부산_동래_녹천호텔15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